애플의 포스터치, 3차원 인터랙션시대를 연다

Apple_Watch_150309_1

 

3월 10일 애플워치가 출시됐다. 호평과 혹평이 교차하고 있는 가운데, 애플이 혁신의 핵심이라고 선언한 ‘포스터치(force touch)’ 사용자 인터랙션 기술이 유독 눈에 띈다. 애플의 맥북 랩톱에도 적용된 포스터치는 사용자가 누르는 힘을 이용하는 인터랙션(UI) 기술이다. 현재 스마트폰에서 이용하는 2차원 평면 터치 인터랙션에서 한발 나아가 힘을 통해 깊이축을 인식할 수 있는 힘 센서와 가상의 햅틱 피드백을 만들어 주는 진동모터로 구성돼 있다.

예를 들어 이번 맥북의 트랙패드를 클릭하면 실제로는 트랙패드 판이 움직이지 않는데도 사용자는 누르는 섬세한 클릭감을 느낀다. 이 느낌은 사실이 아니라 트랙패드 밑에 달려있는 진동모터가 만들어 낸 착시효과다. 포스터치는 터치 인터랙션의 모순을 극복할 수 있다. 현재 스마트폰 혁명을 불러일으킨 터치스크린 기반의 터치와 제스처 인터랙션은 깊이축이 없기 때문에 우리가 살고 있는 3차원 공간과 같은 입·출력을 만들어내지 못한다. 따라서 문을 민다거나 밀려난다거나 혹은 물 속 깊이 손가락을 넣는다거나 눈을 밟는 느낌이나 거칠거나 부드러운 표면의 느낌 등 3차원적 조작을 할 수 없다. 그저 화면에 손가락을 대는 터치만 할 수 있다.

 

아울러 현재의 멀티터치 방식 인터페이스는 스마트워치같은 작은 화면에는 적합하지 않기에 이에 맞는 사용자 경험(UX) 인터랙션 모델이 필요했다.포스터치는 인터페이스의 발전사 측면에서도 혁신적인 의미를 가진다. 과거 유닉스나 도스 시절 키보드로 명령어를 입력하던 시기는 화면공간에 대한 조작이 없던 0차원 인터랙션이었다. 그 후 그래픽 기반 UI와 함께 사용자는 마우스를 이용해 화면공간에 콕콕 점을 찍듯 선택하는 1차원 인터랙션을 할 수 있었다. 이후에는 터치와 제스처를 기반으로 하는 2차원 인터랙션기술이 세상을 지배했다. 그리고 포스터치는 애플워치같은 작은 스크린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3차원 인터랙션 기술을 구현한 것이다.

 

계속 읽기 => Tech M의 UX Symphony 칼럼

http://www.techm.kr/home/bbs/board.php?bo_table=issue&wr_id=311

 

 

 

 

국내최고전문가 15인이 바라본 IOT의 미래잡기


이번 12월 10-12일 홍은동 그랜드 힐튼호텔에서 열리는 HCI Korea 2015의 공동조직위원장을 맡고있는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의 조광수입니다. 국내 최대규모로 열리는 이번 사물인터넷 패널토론에 앞서 잠시 HCI Korea 2015컨퍼런스 소개를 드리면, 한국 HCI 연차학술대회는 보통 2천 여명이상이 참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컨퍼런스이며, IT 관련 학계 뿐만 아니라, 산업에서도 대거 참석합니다. 특히 올해는 해외에서도 많은 분들이 참석하게되어 이제 국제적인 위상마져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HCI Korea 2015의 주제는 Interaction of Things (IoT)이기에, 명실공히 우리나라 최고 전문가들을 모시고 “국내 최고 전문가들의 사물인터넷 미래잡기”라는 IoT 패널을 개최합니다. 눈앞에 바짝 다가 온 사물인터넷의 시대. 이제 새로운 UX, 인터랙션, 서비스와 비지니스로 산업이 혁신되는 세상을 국내 최고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 갑론을박하는 유익한 자리에 여러분 모두 참여하시어 뜻 깊어 시간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점심식사와 저녁만찬을 제공합니다.

2014년 12월 10일 – 11일

홍은동 그랜트힐튼 호텔 Diamond Hall

등록: http://hcikorea.sql.co.kr/hcik2015/

후원: HCI Trends, 연세 UX 아카데미, 서울시, SBA

사회: 조광수,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IoT 세션 1: 튜토리얼 – 12 10 수요일 12PM-1:20PM]

O 조광수 교수, 연세대학교, “튜토리얼: IoT의 혁신과 IT 비지니스 3.0”

[IoT 세션 2 – 12 10 수요일 1:30PM-3PM]

O 김현석 교수, 홍익대학교, “IoT 미디어의 콘텐츠 디자인

O 편백범 사장, 크루셜소프트, “IoT 결제서비스”

O 권태경 교수, 연세대학교, “IoT 보안”

O [패널토론]

[IoT 세션 3 – 12 11 목요일 11:30AM-13PM]

O 우운택 교수, 카이스트, “IoT 인터랙션, 증강현실, 그리고 증강휴먼”

O 박용석 수석, 삼성전자, “IoT 통신”

O 김형준 센터장, ETRI, “IoT 표준화”

O [패널토론]

[IoT 세션 4 – 12 11 목요일 14:00PM-15:20PM,  1시간 30]

O 차두원 실장, KISTEP, “IoT와 공유경제”

O 정지훈 교수, 경희사이버대학교, “IoT와 헬스케어”

O 이경전 교수, 경희대학교, “IoT와 비지니스모델”

O [패널토론]

[IoT 세션 5 – 12 11 목요일 15:30PM-16:50PM,  1시간 30]

O 이지현 교수, 서울여자대학교, “IoT 인터랙션과 서비스”

O 임정욱 센터장,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IoT와 스타트업기업”

O 이원석 박사, 삼성전자, “IoT와 (모바일) 웹의 미래”

O [패널토론]  

[IoT 세션 6 – 12 11 목요일 17:00PM-18:30PM,  1시간 30]

O 조광수 교수, “IoT의 크로스도메인 비지니스”

O 황병선 대표, PAG&파트너스, “IoT 시장에서의 플랫폼 경쟁력”

O 한상기 소장, 소셜컴퓨팅연구소, “IoT의 향후 연구과제”

O [패널토론]   HCI2015_final

쿠퍼티노의 저항정신 – 애플 브랜드 정체성과 한계성

쿠퍼티노의 저항정신  – 애플 브랜드 정체성과 한계성

An interview with 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사이언스 학과 조광수

인간중심의 디자인이나 인간중심의 기술이라고 하는 것은 사람이 가지고 있는 세상을 보는 방식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이를 우리는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이라고 한다. 하지만 “인간을 위하여”라는 낭만주의적 인본주의를 사용자경험(UX)이라고 오해는 하지말아야 한다. UX를 잘 하는 기업으로 손꼽히는 애플과 사용자 경험(UX)을 뗄 수 없는 이유는 애플이 이 분야를 선도했기 때문이다. UC 샌디에고 대학 인지과학과 교수였던 도널드 노먼(Donald Norman)이 애플의 부사장이 되면서 업계 최초로 UX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부서를 만들었다. 물론 그 전에도 이 용어는 존재하고 있었지만 이것이 공식적으로 산업에 등장한 첫 사례이다. 세계 10대 디자인대가로 알려진 도날드 노먼은 인지과학자다. 인공지능 시스템, 기억과 주의(attention)가 그의 연구주제이다. 예를 들어 사람의 시각은 어떻게 작동하여 물체를 탐지하고, 주의하고, 기억하는지, 왜 보아야 할 것을 보지 못하고, 기억하지 못하는지를 연구하였다. 즉 멋진 인포그래프를 디자인해 놓았지만 막상 사용자는 제대로 보거나,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흔한데, 그 이유를 사용자의 주의와 기억이라는 사용자경험으로 설명하고 개선할 수 있다.

사람의 UX란 흔히 디자인에서 하는 것과 다르다. 디자인이 보통 눈으로 볼 수 있는 제품이나 패션, 시각물의 디자인을 다룬다면, 사람은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등 고유감각수용기를 가진 감각과 시간감, 육감등 다양한 감각을 가지고 세상을 경험하고, 학습하고 기억한다. 즉 UX 디자인이란 결국 사람이 어떻게 대상을 지각하고 사고하고 행동하도록 하느냐를 만들어 내는 것이며, 이는 제품 그 자체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기억속에서 잉태되는 제품을 바라보는 태도도 디자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 후자를 UX 마케팅이라 하며, 이 역시 제품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만들어주는 역할이다. 애플은 이 두 가지를 모두 잘하는 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애플이라는 브랜드를 어떻게 보는가.

애플의 기저에는 기득권에 저항적인 히피문화가 깔려있다. 스티브 잡스가 성장하고 현재 애플 본사가 있는 캘리포니아의 쿠퍼티노(Cupertino)라는 동네는 특이하다. 미국에서 교육수준이 가장 높고 주변 동네와는 약간 고립되어있는 지형이다. 쿠퍼티노는 다양한 사고가 교류하는 문화를 가진 최고의 지식인들이 모여 사는 동네이면서, 자유로운 사고들이 교통할 수 있는 곳이다. 잘 아는 얘기로 스티브 잡스의 성장배경을 보면 그가 자유로움과 창의성을 추구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 스티브 잡스는 고등학교 때 HP에서 인턴을 한 경험이 있는데, 맨발로 다녔다고 한다. 인간성 회복을 주장하던 히피 문화에 젖어 있었던 탓이다. 이런 행동을 시카고나 뉴욕같은 보수적인 도시의 기업에서 할 수 있을까? 상상하기도 힘들지만, 거의 출입조차 불가능했을 것이다.

히피문화에서 성장한 잡스의 혈관에는 저항과 도전의 피가 흘렀다. 플라워 파워라는 사건을 이해하면 그 정신을 이해할 수 있다. 쿠퍼티노와 약 1시간정도 떨어진 샌프란시스코는 베트남전으로  떠나는 청년들이 모이는 곳이었다. 그래서 이곳은 반전을 상징하는 평화의 꽃이 모이는 곳이었다. 그리고 여기에는 미국에서 가장 진보적인 학교인 UC 버클리 대학이 있다. 그 당시 UC 버클리 대학은 주변 건물을 부시면서 주차장을 만들려하였다. 그런데 이 공사판에 히피와 대학생, 시민들이 모여 꽃과 나무를 심어 공원처럼 만들었다. 그러자 훗날 대통령이 되었던 레이건 주지사는 군대를 파견하여 이 공원을 파괴하고 시위를 응징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이 군대앞에 히피와 시민은 꽃을 들고 나타났다.

애플이 내 놓은 “Big Brother”란 광고를 기억하는가. 애플의 역사적인 광고인데, 제품이 전혀 등장하지 않는 최초의 광고로서, 조지오웰의 소설 ‘1984’에 나오는 빅브라더를 연상케한다. 자본과 권력을 독점한 빅브라더는 세상 곧곧에 스크린을 놓고 모든 개인의 사생활을 감시한다. 그리고 젊은 애플은 시위를 진압하는 군대에 쫓기며 빅브라더를 해머로 부순다. 바로 그 빅브라더는 IBM을 상징하였다. 이 광고는 1983년 12월 31일과 1984년 1월 22일 미국 슈퍼볼 경기 하프타임에 방연되었고, 대중의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그리고 몇년 후 애플은 ‘Think Different’라는 슬로건을 들고 나온다. 이 역시 IBM의 슬로건 ‘Think”를 연상케 한다.  삼성의 슬로건이 “Inspire the world”인데, 어떤 기업이 나와   “Inspire the world different”라고 했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생각해 보면 그 여파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애플은 알버트 아인쉬타인, 밥딜런, 마틴 루터 킹목사, 무하마드 알리, 에디슨, 간디처럼 세상을 바꾸어 나간 역사적 인물을 내세우는 광고를 했다. 그리고 애플의 의미를 세상을 혁신하기 위해 도전하는 자로 스스로를 각인해 나간다. 도전자 전략이라고 하는 것이다. 관료주의와 국가주의, 전쟁을 통해 성장한 기득권 세력에 맞서, 히피의 저항처럼 인간의 삶을 사람답게 만들어버린 상징이었다.

애플은 그렇게 미국인의 가슴 속에 자리잡았다. 애플을 좋아하는 미국인들은 그런 정신과 비전을 받아들이고 이는 자연스럽게 애플의 컬트스러움, 숭배 문화로 이어진다. 1997년 잡스가 애플로 돌아오면서 OS X 운영체제가 출시했다. 그때의 그 대단함, 그 화려한 컬러, 엄청난 화면과 디자인에 많은 사람이 애플을 다시 가슴으로 구매하기 시작했다. 애플의 컬트스러운 문화를 상징하는 일들이 있다. 아이폰이 처음 나왔을 때 이어폰 줄이 지나치게 길었다. 그런데 이는 일종의 애플매니아의 상징이었다. 추렁추렁 늘어진 하얀색 이어폰 줄만 보면 ‘아 저 사람은 아이폰 쓰는구나!”하고 알아봤다. 그리고 서로 눈짓을 주고받는 등 서로가 서로를 알아보는 제스처를 취했다. 초기 애플 랩탑을 넣고다니던 가방이 있는데 사실 디자인은 별로였다. 하지만  당시에는 그것밖에 없었다. 어느 날 그 가방을 메고 비행기를 타러 가는데 누군가 지나가면서 ‘A good bag!’이라고 말했다. 알아본 것이다. 이런 사소한 일에서도 애플의 컬트 문화를 엿볼 수 있다.

저항정신이 지금도 남아 있다고 보는가이것이 애플의 경험이 되어야 할까.

예전에는 애플의 도전과 저항의 상징을 가슴에 담은 매니아들이 있었다. 이들이 추종하는 애플의 제품은 단지 새로운 신상품에 대한 애정이라고는 해석이 되지 않을만큼 병적이라거나 컬트스럽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잡스가 내세운 비전과 이를 구체화해낸 혁신적 제품 때문이었다. 여기에서 진정성(authenticity)이 만들어지고, 소비자의 추종이 따른다.

그러나 애플이 세상의 1등이 되고 세상을 지배하면서 이제 애플은  기득권 세력이 되었다. 그리고 이제 누구나 사용하는 ‘좋은’ 제품이 되고 있다. 예를 들어 작년에 아이폰5가 출시되고 아이폰 판매는 늘었다. 하지만 사람들이 피부로 느끼는 애플 브랜드에 대한 프리미엄 가치(Premium value)는 떨어졌다. 왜냐하면 애플을 사던 사람들은 단순히 제품만 구입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시대를 이끄는 대항마로서 가지는 상징성, 시대의 아이콘 스티브 잡스를 추종하는 것이 애플 문화의 근저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팀 쿡은 그렇게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그는 아마 뛰어난 전문 경영인인 것 같다. 현재 우리가 느끼는 애플은 혁신이 없는 것이 아니라 바로 비전과 정신이 없는 것이다. 비전이 없는 기업은 제품으로만 승부해야 한다. 그런 기업은 언제든지 좋은 제품이 나오면 내려갈 수 밖에 없지 않은가.

애플을 인격체에 비유한다면 뭐라고 설명할  있을까.

그런 의미에서 시리(Siri)는 굉장히 중요한 기술 중 하나다. 시리는 생각보다 더 똑똑한 아이고 이제 사람의 말을 이해하게 되었다. 지금 가고 있는 방향은 이 아이가 나와 동일한 경험을 하게 만드는 것이다. 구글 글래스에 시리가 들어있다고 해 보자. 사용자가 보는 것을 함께 보고 듣는 것도 같이 들을 수 있다. 그리고 본 것을 모두 기억할 수 있다. 우리는 볼 수 있는 것만 보지만, 이 글래스는  우리가 기억하지 못하는 것까지 기억한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기계가 인간다운 모습을 취하면 취할수록 또는 그런 방식을 취해가면 취해갈수록 사람들은 그 기계를 더욱더 사람처럼 대한다. 인간과 동일하게 대우를 한다는 것이다.  브랜딩에도 중요한 개념이다. 브랜드는 로고가 아니다. 어떤 정신을 가지고 어떻게 작업해 왔는지, 그리고 스스로 가치를 만들어 가는 것이 브랜드이기 때문이다.

애플은 충전기를 가는 식이 아니다안을   없다는 것이 그것을 인격체로 느끼게 하는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나.

아이폰을 열어보면 놀랄 것이다. 왜냐하면 그 안에 구조를 보면 ‘세상에 어떻게 이렇게 만들 수 있지?’라는 감탄이 절로 나온다. 뒷면을 열었을 때 알 수 있는 명백한 사실은 애플은 기계도 잘 만든다는 것이었다. 그 작은 공간을 보면 뛰어난 구조설계가 돋보인다. 애플은 모든 환경에서 견딜 수 있는 휴대폰을 만들기 위해 접착제도 개발했다. 사실 이 뒷면을 열지 않게 한 이유는 따로 있지 않은가? 열면 배터리는 교체할 수 있지만 또 하나의 커버를 만들어야 한다는 사실 때문이다. 보이지 않는 곳에도 아름다움이 숨어있는 격이다.

애플의 씨드(Seed)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애플의 씨드는 기득권에 대한 ‘저항정신’이다. 그 저항의 근원은 휴머니티(Humanity)이다. 그들이 인문학을 외치는 이유이다. 씨드는 자라면서 잎이 나고 줄기가 형성되면서 강해진다. 초기에 애플의 전략은 대중적이지 않았다. 씨드가 확산되면 그 아이덴티티(identity)는 희석될 수밖에 없다. 그들의 정신을 이해 못 하는 대중에게 그들의 제품은 그저 제품일 뿐이다.

그 정신의 모체는 스티브 잡스가 있고, 잡스의 뒤에 그런 정신이 있다. 그가 떠난 후에도 그 아이덴티티를 정신을 가져가야 하는데, 팀 쿡이 그렇게 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Profile

조광수|현재 성균관대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World Class University 교수, 인터랙션사이언스 연구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HCI/UI/UX/소프트웨어/마케팅/디자인 관련 약 120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공학, 인문사회, 디자인의 융합을 강조한다.

Unitas BRAND Vol. 32 브랜드와 부(富)랜드 2 – VISGRAM